3. 평면교차로의 설계
3-1. 평면교차로의 기하구조
(1) 설계속도
교차로에서 해당 도로의 설계속도는 원칙적으로 그 도로의 설계속도와 동일하다. 그러나 주도로와 부도로 와의 우선권이 명확한 경우에는 부도로 측의 교차로 설치부의 속도를 주도로부 보다 낮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제반 설계요소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설계속도를 낮추는 경우, 그 속도의 차가 너무 크면 접속 설치 부분에서 문제가 생겨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 적정 설계속도 차이는 20km/h이하이다.
(2) 평면선형
교차로에서는 직선의 선형이 가장 적합하다. 교차로는 서로 다른 방향의 교통류가 만나는 지점으로 시거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이 직선의 선형이 가장 적합하며, 곡선부로 이루어진 선형에 평면교차로가 존재하게 되면 교통류를 관제하는 신호나 주변의 차량의 이동 행태에 대한 정보 얻기가 기하구조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운전자들은 부족한 정보로 인해 반응속도가 늦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잠재적인 사고유발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평면선형은 직선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종단선형
교차로에서는 종단경사를 3% 이내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형, 공사비 등으로 인해 개선이 곤란한 경우에도 종단경사는 6%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평면교차로의 시거거교차로 내에 진입한 차량은 교차도로의 상황을 인지하는데 필요한 시거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시거를 말할 때 사용되는 도로 중심선과는 다른 교차하는 도로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이것을 교차로의 시계 또는 시거 삼각형(Sight Triangle)이라 부른다.
시거 삼각형에서는 교차로를 통해하는 운전자들이 교차로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최소정지시거가 확보되어야 하고 시거삼각형 내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
3-2. 교통섬 설계
교통섬이란 교차로에서 좌화전, 우회전, 직진차를 규칙적으로 도류화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섬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섬의 최소 크기는 보행자의 대피 장소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9m2 이상이 되어야 한다. 용지 폭원 등의 제약으로 부득이한 경우에도 도시부는 5m2이상, 지방부는 7m2 이상의 면적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선과 도류로가 분기되어 각각의 차로에서 일정 간격(직거리)을 유지하는 노즈, 차로와의 수직거리를 옵셋이라 하며, 차로와 평행하게 이격된 거리를 셋백이라 하고 이렇게 구성된 삼각형 모양의 모서리 부분을 선단이라 한다.
3-3. 도류로 설계
(1) 좌회전 차로
좌회전 차로는 좌회전 교통류를 다른 교통류와 분리시키기 위해 설치한다. 좌회전 차로의 설계요소는 폭원, 접근로, 테이퍼, 차로 테이퍼, 유출 테이퍼, 좌회전 차로 등으로 구성된다.
1) 좌회전 차로의 폭은 3m이상을 표준으로 하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2.75m까지 축소할 수 있다. 직진 차로는 원칙적으로 접속 유입부의 차로 폭과 같은 폭으로 한다. 교차로에서 전체 폭의 증가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부가차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직진 차로 폭을 25cm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지 등의 제약이 심한 경우에는 차로 폭을 3m로 축소할 수 있다.
2) 차로 테이퍼는 좌회전 교통류를 직진차로에서 좌회전 차로로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차로 폭에 대한 길이의 최소비율은 설계속도 50km/h 이하에서는 1:8, 설계속도 60km/h 이상에서는 1:15를 사용한다. 그러나 시가지 등에서 용지 폭의 제약이 심한 경우에는 그 값을 1:4까지 사용할 수 있다.
(2) 우회전 차로
우회전 차로는 우회전 교통량이 많아 직진 교통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설치한다. 우회전 차로 설계 시 조류로의 폭은 설계기준 차량, 평면곡선반경, 도류로의 회전각에 따라 결정한다.
도류로의 폭은 순수한 차로의 폭이며 도류로가 교통섬 등으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는 양측에 포장을 하여 0.5m 이상의 측대 및 길어깨의 여유 폭을 확보하여야 한다. 확폭 접속 설치는 원칙적으로 내측으로 한다.
도류로의 접속설치곡선은 클로소이드 또는 원곡선으로 하며, 접속 곡선의 곡선반경은 도류로 내측 반경의 3~4배가 되도록 한다. 원곡선을 접속 곡선으로 설치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세 개의 원곡선을 조합하여 설치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체교차시설의 계획 및 설계 (0) | 2022.07.31 |
---|---|
교통용량 (0) | 2022.07.28 |
평면교차시설(1) (0) | 2022.07.26 |
아스팔트,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0) | 2022.07.25 |
기층 및 보조기층(2) (0) | 2022.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