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교통용량

by mungdogu 2022. 7. 28.
반응형

교통용량

1. 교통용량

1-1. 교통량, 교통밀도 및 속도와의 관계

교통량, 교통밀도 및 속도는 서로 상관관계를 갖고있으며 이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교통흐름은 자유주행, 구속상태, 지체 상태를 나타낸다.

 

1-2. 교통용량 산정방법

(1) 교통용량의 정의

도로의 교통용량이랑 주어진 도로, 교통 및 교통통제 조건하에서 일정 시간동안 한 도로구간 또는 한 지점을 무리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기대되는 최대시간교통량(Maximum Service Flow Rate)을 말한다. 여기서 일정시간이란 동일한 교통류 특성을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도로에서는 15분을 사용하며 도시부의 특정도로 구간에는 5분을 사용한다. 또 최대시간 교통량은 승용차의 대수로 나타내며 단위는 PCU(Passenger Car Unit)이다.

즉, 도로의 교통용량이란 최대 교통량을 의미하며 이것은 서비스 수준 E에서의 교통량이다

 

(2)교통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교통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도로조건, 교통조건, 교통 통제조건이다. 계획과 설계 할 도로의 교통용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조건이 이상적인 상태일 때의 값을 "도로용량편람"에서 구해 실제 계획도로의 조건을 반영하여 결정한다. 즉 그 도로의 교통용량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서비스 수준 E에서의 교통용량x도로조건x교통조건x교통통제조건을 반영하여 구한다.

 ㅇ 도로조건 : 차로 폭, 차로 수, 길어깨, 평면선형, 종단선형, 측방여유폭, 설계 속도 등 기하구조

 ㅇ 교통조건 : 교통량의 차종별 구성, 차로별 분포, 방향별 분포 등 교통류 특성

 ㅇ 교통통제 조건 : 교통통제의 형태와 법규에 대한 것

 

(3) 서비스 수준(Level Of Service, LOS)

서비스 수준이란 교통류 내에서 운행상태를 질적인 정도로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나 승객이 느끼는 정성적 평가기준이다. 교통량, 교통밀도, 속도의 증감에 의해 자유주행, 구속, 지체상태 등의 운행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들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평가기준이다.

서비스 등급은 A~F까지 6개 등급으로 나눈다.

 

ㅇ A (자유교통류) : 교통류 내 다른 운전자 출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원하는 속도, 방향조작, 자유도가 높고, 안락감이 우수하다.

ㅇ B (안정류) : 원하는 속도 선택의 자유도는 높으나 통행자유도는 어느정도 떨어진다. 이는 다른 운전자의 출현으로 어느정도 개인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ㅇ C (안정류) : 교통류 내 타 차량과의 상호작용으로 통행에 영향을 받기 시작한다. 속도의 선택도 영향을 다소 받으며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수준이다. 이때부터 안락감은 상당히 떨어지기 시작한다.

ㅇ D (불안정접근 교통류) : 속도 및 방향 조작 자유도는 모두 제한되며 운전자가 느끼는 안락감은 일반적으로 나쁜 수준이다. 조금만 교통량이 증가하여도 운행상태에 문제가 생긴다.

ㅇ E (불안정교통류) : 교통류 내에서 방향조작 자유도는 매우 제한되며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차량이 길을 양보하는 강제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조금만 교통량이 증가하거나 혼란이 발생하면 정체가 발생한다.

ㅇ F (강제교통류) : 교통량이 용량을 넘어선 상태이다. 차량은 자주 멈추며 도로의 기능은 거의 상실된 상태이다

 

(4) 서비스 용량(Service Flow Rate)

서비스 용량이란 주어진 시간 내에 주어진 도로조건, 교통 조건, 교통통제조건 아래에서 각 서비스 수준에서 도로 또는 차로의 균일구간이나 어떤 지점을 통과할 수 있는 최대시간 교통량을 말한다. 즉 서비스 용량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ㅇ 서비스 용량 = 이상조건 교통용량 x 서비스 수준 x 도로 조건 x 교통 조건 x 교통 통제 조건

 

1-3. 차로수 결정

(1) 설계 서비스 교통량

차로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계획목표년도에 대상도로의 혼잡상태를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허용 서비스 수준이 설계 서비스 수준이다. 또 설계서비스 수준에서의 서비스 교통용량이 설계 서비스 교통량이다.

 

ㅇ 도로형태별 설계 서비스 수준

자동차 전용도로

 - 지방지역 : C

 - 도시지역 : D

일반도로

 - 지방지역 : D

 - 도시지역 : D

 

(2)차로수 결정

차로수는 추정된 장래 교통량과 계획한 도로의 1차로 교통용량을 비교하여 결정한다. 즉 차로수 = 장래추정교통량 / 계획 도로의 1차로 교통용량의 개념이다. 장래 추정교통량은 설계시간교통량과 1시간 내의 Peak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1차로 교통용량은 설계서비스 수준을 고려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이 구한다.

 

차로수 N= 첨수설계시간 교통량 / 설계서비스 교통량

              = ((AADT x K x D)/PHF) / SFi

N : 대상도로가 다차로 도로일 경우 1방향 차로수

SFi : 설계서비스 수준

PHF : 첨두계수

AADT : 계획교통량(연평균 일교통량)

K : 설계시간계수

D : 중방향계수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면선형(1)  (0) 2022.08.03
입체교차시설의 계획 및 설계  (0) 2022.07.31
평면교차시설(2)  (0) 2022.07.27
평면교차시설(1)  (0) 2022.07.26
아스팔트,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0) 2022.07.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