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평면 교차시설의 종류
1-1. 교차시설의 분류
평면교차란 교차하는 2개 이상 도로의 교통처리가 평면상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입체교차란 구조물을 설치하여 2개 이상 도로의 교통흐름이 각기 다른 층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ㅇ 도로 상호 간의 교차
- 평면교차
- 입체교차 : 단순 입체교차, 인터체인지
ㅇ 도로와 철도와의 교차
- 평면교차
- 입체교차
1-2. 평면 교차로의 종류
평면 교차로(At grade Intersection)란 2개 이상의 도로가 평면상에서 서로 합쳐지는 도로의 부분이다. 평면교차로의 종류는 교차하는 갈래의 수, 교차각 및 교차 위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ㅇ세 갈래 교차로
- T형 : 미 확폭 교차로, 확폭 교차로, 단순 유출입
- Y형 : 미 확폭 교차로, 확폭 교차로, 도류화
ㅇ네 갈래 교차로
- 직각 : 엇갈림, 확폭 교차로, 도류화
- 사각 : 엇갈림, 확폭교차로, 도류화
ㅇ기타 : 기형 교차로, 로터리
평면교차로에는 교통의 상충 현상이 일어나므로 이를 어떻게 해결하는가가 과제이다. 따라서 계획과 설계 시는 상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과 기법이 적용된다
1-3. 평면교차로의 도류화
도류화(Channelization)는 차량과 보행자를 안전하고 질서 있게 이동시킬 목적으로 교통섬, 노면표지 등을 이용하여 상충하는 교통류를 분리시키거나 규제하여 명확한 통행경로를 지시해 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평면으로 교차하거나 접속하는 구간에서는 필요시 회전차로, 변속차로, 교통섬 등의 도류화 시설을 설치한다. 즉, 평면교차로의 설계는 도류화 설계가 원칙이며 도류화는 설계 시뿐만 아니라 기존 교차로의 개선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2. 평면 교차로의 계획
2-1. 교통관제
교차로의 계획, 설계는 교차로의 교통 운영과 교통관제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교차되는 도로의 상대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많은 교통관제 방법이 필요치 않다. 그러나 상대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많은 교통관제시설을 하거나 차량의 주행경로를 차단 또는 전환시켜야 한다. 교차로의 교통관제 방법에는 교통신호기 설치, 일지정지 표시, 양보 표지 등이 있다.
2-2. 평면교차로의 설치 간격
1) 위빙 교통량이 적은 경우, 개략적인 교차로 순간 격은 다음식으로 결정한다.
L = a x V x N
L : 순간 격(m)
a : 상수(시가지부 : 1, 지방지역 : 2~3)
V : 설계속도 (km/h)
N : 설치 차로수
2) 신호 교차로에서 좌회전 차로의 설치 길이가 짧으면 교통장애가 일어나므로 두 교차로 사이의 거리는 두 교차로의 좌회전 차로 설치 길이의 합보다 길게 한다.
3) 다음 교차로에 대한 인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해야 한다. 영국 도시부에 적용되는 교차로 간의 최소 간격에 대한 지침은 다음과 같다.
- 주요 간선도로 : 550m
- 간선도로 : 275m
- 보조간선도로 : 210m
- 집산 및 국지도로 : 90m
2-3. 교차로 설치 위치 결정
(1) 평면선형을 고려한 설치위치
평면교차로는 평면선형이 직선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나 불기 피하게 곡선부에 설치하는 경우 곡선부 바깥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2) 종단선형을 고려한 설치 위치
평면교차로는 종단선형의 급경사구간 및 종단 곡선 구간에는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불가피하게 종단 곡선상 설치할 때는 오목형 종단 곡선부에 설치한다.
2-4. 차로 계획
(1) 교차로에서의 차로수는 교차로로 접근하는 도로의 차로수보다 많게 한다.
(2) 유출부의 차로수는 유입부의 차로수보다 많거나 같아야 한다. 이와 같은 교차로에서는 차로수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2-5. 평면교차로의 형상
평면교차로는 차량, 보행자 및 시설물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지점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교통운영상태가 나빠질 우려가 많다. 따라서 교차하는 도로의 선형은 되도록 직선을 유지하도록 하며, 교차하는 각도도 직각에 가깝도록 함으로써 교차로의 면적을 최소화시킨다. 일단 교차로에 진입한 운전자나 보행자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가지고 교차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직각 교차로로 하는 것이 좋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용량 (0) | 2022.07.28 |
---|---|
평면교차시설(2) (0) | 2022.07.27 |
아스팔트,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0) | 2022.07.25 |
기층 및 보조기층(2) (0) | 2022.07.24 |
기층 및 보조기층 (0) | 2022.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