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체와 노상
노체의 품질과 다짐 그리고 노상의 품질과 다짐 두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노체와 노상은 포장체 하부에서 지지를 해주는 아주 중요한 단계이며, 품질과 다짐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으면 해당 층의 문제뿐만아니라 포장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계속된 포장체의 균열이나 침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결국 노체와 노상부터 다시 잡아가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1. 노체의 품질과 다짐
노체는 포장체 하부 노상 아랫부분을 말하며 두께는 약 1m이다. 일반적으로 노체 재료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용토(절토사면의 절취를 통해 채취)를 활용하지만, 그 양이 넉넉하지 않은 현장의 경우 인근 지역에 토취장을 개발하여 유용하거나 인근 사토 현장의 흙을 받아다가 활용하기도 한다. 노체는 노체 재료의 품질을 만족해야 하며 대형 다짐기계를 이용하여 충분히 다져 다짐기준 이상 확보해야 한다.
*노체 재료의 품질
ㅇ 시방 규정밀도에서의 수침 CBR(%) - 시험법 KS F 2320
- 토사 2.5 이상
ㅇ 다짐도(%) - 시험법 KS F 2312에서 A-1, B-1, C-1, D-1
- 토사 : 90 이상
- 암괴 : 시험시공에 의해 결정한다
ㅇ 시공함수비
- 토사 : 다짐시험방법에 의한 최적 함수비 부근과 다짐 곡선 90% 에 대응하는 습윤 측 함수비 사이
- 암괴 : 자연 함수비
ㅇ 시공층 두께 - 시험법 시공한 층의 두께 측정
- 토사 : 30cm 이하
- 암괴 : 시험시공에 의해 결정한다.
1-2. 노상의 품질과 다짐
노상은 노체 상당에서 포장체의 기초 역할을 한다. 교통하중을 주로 지지하며, 노상 이후 후속으로 이뤄지는 도로포장, 부대시설 공사가 진행될 때 대형 장비가 진입하므로 노체에 비해 높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다짐 시공을 해야 한다. 노상은 품질기준에 맞는 양질의 균질한 재료로 시공해야 한다. 부득이하게 품질기준에는 부합하지만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는 노상을 상부층, 하부층으로 나누어 설계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노상층의 한 층 두께는 20cm 이하가 표준이며 급속시공이 되지 않도록 시공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완성된 노상 마무리면에서는 타이어롤러 복륜 하중 5톤 이상, 타이어 접지압 5.6 kgf/cm^2에 의해 프루프 롤링 시험 시 침하량은 5mm 이하여야 한다.
* 노상 재료의 품질
ㅇ 상부 노상
- 최대 치수 : 100mm
- No.4 체 통과량 : 25~100%
- No.200 체 통과량 : 0~25%
- No.40 체 통과분에 대한 소성 지수 : 10 이하
- 수침 CBR(시방 최소 밀도) : 10 이상
ㅇ 하부 노상
- 최대 치수 : 150mm
- No.4 체 통과량 : -
- No.200 체 통과량 : 50% 이하
- No.40 체 통과분에 대한 소성 지수 : 30 이하
- 수침 CBR(시방 최소 밀도) : 5 이상
* 노상의 다짐
ㅇ 다짐도 - 시험법 수정 다짐시험
- 상부 노상 95% 이상
- 하부 노상 90% 이상
ㅇ 시공 시 함수비 - 시험법 KS F 2306, KS F 2312
- 상부 노상 : 다짐도 및 수정 CBR 10% 이상시 함수비, 최적 함수비 +-2%
- 하부 노상 : 다짐도 및 수정 CBR 5% 이상시 함수비
ㅇ 시공층 두께 - 시험법 시공한 층의 두께 측정
- 상부 노상 : 20cm 이하
- 하부 노상 : 20cm 이하
* 안정 처리 노상의 다짐
ㅇ 다짐도 - 시험법 : 수정 다짐시험
- 상하부 노상 :
시공 함수비 <=W opt 인경우 95% 이상
시공 함수비 > W opt 인경우 공기 공극률 1~10%
ㅇ 시공 시 함수비
- 상하부 노상 : 최적 함수비+-2%
ㅇ 시공층 두께 - 시험법 시공한 층의 두께 측정
- 상하부 노상 : 20cm 이하
1-3. 노상의 지지력
노상토의 지지력 결정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노상은 포장 구조의 기초지반으로써 노상의 강도는 포장두께와 그 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노상토 지지력 결정방법
- 노상토 성질 이용 : 군 지수(Group Index)
- 노상토 역학적 특성 이용 : CBR, 동탄 성계수
- 노상토 지지력 이용 : K치, 프루프 롤링(Proof Rolling)
- 기타 : 삼축 압축 시험, R-Value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