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도로포장공법

by mungdogu 2022. 7. 24.
반응형

 

 

1. 도로포장공법의 종류와 선정

1-1. 도로포장공법의 종류

도로포장공법은 크게 가요성 포장과 강성 포장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가요성포장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말하며, 강성 포장은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을 말한다.

 

ㅇ 가요성포장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 특수 포장

 

ㅇ 강성 포장

  - 무근 콘크리트 포장 : Dowel Bar 유/무로 구분

  - 연속 철근콘크리트 포장

  - 철근 콘크리트 포장

  - 특수 포장

 

* 포장층의 역할

 (1) 아스팔트 포장

 ㅇ 교통하중을 표층, 기층, 보조기층, 노상으로 확산 분포시켜 하중을 경감하는 형식

 - 표층 : 교통하중을 일부 지지하며 하부 층으로 전달, 표면수의 침투를 방지하여 하부 층을 보호

 - 기층 : 입도 조정처리 또는 아스팔트 혼합물로 구성, 전달된 교통하중을 일부 지지하고 하부 층으로 넓게 전달

 - 보조기층 : 입상 재료 또는 토사 안정 처리 등으로 구성, 상부 층에서 전달된 교통하중을 지지하며 노상으로 더 넓게 분포하여 노상강도 이하가 되도록 함, 포장층 내 배수기능 담당

 

(2) 콘크리트 포장

 ㅇ 교통하중을 슬래브 콘크리트가 지지하는 형식

 - 표층 : 슬래브 자체가 빔으로 작용하여 교통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휨 저항으로 지지

 - 보조기층

  • 빈 배합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및 아스팔트 안정 처리로 구성
  • 표층에 대한 균일한 지지력 확보
  • 줄눈부 및 균열 부근의 우수 침투 및 펌핑 현상 방지

1-2. 포장공법의 선정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은 어느 공법이 더 우수하다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포장공법 선정 시에는 재료의 상태, 장비의 상태, 지행, 지세, 기후조건 등과 같은 영향요소를 고려하여 실용성, 경제성, 내구성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는 것이 옳다. 포장공법 선정시 고려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구조적 특성

 아스팔트 포장은 상부층으로 갈수록 탄성계수가 큰 재료를 사용한다. 교통하중 작용 시 상부층에서 전달되는 하중은 점점 하부로 넓게 분산시켜 작용된 수직 응력과 전단응력을 상부층이 아닌 노상층이 지지하도록 한 구조이다. 따라서 노상의 강도는 중요한 것이며 각 층간 역할과 탄성계수가 조화롭게 구성될 수 있도록 층 구성을 해야 한다.

콘크리트 포장은 보조기층 혹은 노상 위에 설치된 얇은 판으로 가정한다. 하중을 노상에서 지지하는 아스팔트 포장과는 반대로 콘크리트 포장이 직접 지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노상이나 보조기층의 탄성계수보다 콘크리트의 탄성계수가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노상의 강도는 중요하지 않으나 탄성계수가 큰 콘크리트의 취성 특성으로 인하 하부 층이 균질해야 한다는 점은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2) 시공성

콘크리트 포장은 시공기술, 시공장비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이 신속성, 간편성, 시공기간 이 유리하다.

 

(3) 경제성

일반적으로 초기 건설비는 콘크리트 포장이 높고 유지관리비는 아스팔트 포장이 높다. 하지만 분석방법, 기간, 재료비 현황에 따라 일반적인 비교는 어렵다.

 

(4) 중교통 내구성

아스팔트 포장은 아스팔트 재료의 특성인 감온성 때문에 중 차량에 의한 소성변형(러팅)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이 유리하다.

 

(5) 미끄럼 저항 및 노면 안정성

미끄럼 저항은 콘크리트 포장이 유리하다. 한랭지역에서 강설이나 결빙으로 인한 안정성에는 아스팔트 포장이 유리하나 동절기 바퀴 체인에 의한 마모 손상 면에서는 콘크리트 포장이 유리하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층 및 보조기층(2)  (0) 2022.07.24
기층 및 보조기층  (0) 2022.07.24
동상  (0) 2022.07.21
노체와 노상  (0) 2022.07.20
절토와 성토  (0) 2022.07.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