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활정보28 평면교차시설(1) 1. 평면 교차시설의 종류 1-1. 교차시설의 분류 평면교차란 교차하는 2개 이상 도로의 교통처리가 평면상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입체교차란 구조물을 설치하여 2개 이상 도로의 교통흐름이 각기 다른 층에서 처리되는 것이다. ㅇ 도로 상호 간의 교차 - 평면교차 - 입체교차 : 단순 입체교차, 인터체인지 ㅇ 도로와 철도와의 교차 - 평면교차 - 입체교차 1-2. 평면 교차로의 종류 평면 교차로(At grade Intersection)란 2개 이상의 도로가 평면상에서 서로 합쳐지는 도로의 부분이다. 평면교차로의 종류는 교차하는 갈래의 수, 교차각 및 교차 위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ㅇ세 갈래 교차로 - T형 : 미 확폭 교차로, 확폭 교차로, 단순 유출입 - Y형 : 미 확폭 교차로, 확폭 교차로, 도류화 .. 2022. 7. 26. 아스팔트,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1.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 1-1.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은 중앙 혼합 플랜트에서 제조하여 이것을 현장에 운반, 포설하는 것이 보통이다. 플랜트에서는 1배치씩 중량으로 계량, 혼합하는 연속식 플랜트가 있다. 이 중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것은 배치식 플랜트이다. 1-2. 아스팔트 포장 시공 (1) Prime Coat 와 Tack Coat 노상 위에 아스팔트 혼합물로 포장하기 전에 컷 백 아스팔트(Cut Back Asphalt)를 적정량 살포하여 노상으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성을 높이고, 노상과 포장면과의 접착을 증진시키는데 이와같은 작업을 프라임 코트(Prime Coat)라 한다. 시멘트계나 역청계 층 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사전에 아스팔트 .. 2022. 7. 25. 기층 및 보조기층(2) 1-3. 기층 및 보조기층의 안정처리 공법(2) (5) 석회 안정처리 공법 석회안정 처리공법은 시멘트 안정처리 공법에서 시멘트 대신 석회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시공과 배합설계 방법은 동일하다. 다만 석회의 재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점성토에 적용시 효과가 높다. 석회량이 증가하면 소성지수가 증가하고 강도가 높아진다. 장기강도의 발현이 우수하다. (6) 역청 안정처리 공법 역청재를 흙이나 골재에 첨가 후 혼합하여 잘 다짐하여 역청재의 점착력에 의해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 역청제를 이용한 안정처리 공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역청재는 방수성을 높여준다. 역청 함유량이 높아지면 강도가 증가하는데 어느 한 지점에서부터는 반대로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최적의 역청 함유량을.. 2022. 7. 24. 기층 및 보조기층 1. 기층 및 보조기층 기층 및 보조기층은 노상 상단과 포장체 하단에 위치하는 골재로 이루어진 층이다. 흙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노체와 노상과는 달리 다양한 입도의 골재로 이루어진 층이므로 관리 포인트가 조금 다를 수 있다. 필요시에는 기층의 안정 처리를 위하여 시멘트나 아스팔트 등으로 보완할 수도 있다. 1-1. 보조기층 보조기층 재료는 경제성을 위해 시공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한다. 막자갈, 슬래그, 보조 기층재나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러한 재료를 확보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시멘트, 석회, 아스팔트로 안정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공은 도저, 그레이더 등을 이용하여 1층당 두께가 20cm 이하가 되도록 포설하고, 목표 밀도를 얻을 때까지 롤러로 다져야 한다. 다짐은 최적 함수.. 2022. 7. 24.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